목록분류 전체보기 (55)
DAYOUNG

프로젝트 결과 자료 정리 각 단계별 데이터 정리를 통하여 내용을 문서화할 수 있다. 완료 후 업그레이드나 수정 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정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게 제시할 프로젝트 결과 자료를 정리할 수 있다. 1.데이터 정리의 정의 정리와 정돈의 차이 정리 : 필요 없는 것을 버리는 것. 그러므로 필요 없는 산출물이 나오지 않으면 정 리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요한 데이터를 판단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정돈 : 정리해 남은 것에 바로 꺼내 활용할 수 있도록 인덱스를 붙이는 것. 유관 부 서, 외부 업체와 협업 과정누구라도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데이터 정리는 산출물 정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하고 목록화 시키는 과정 전반을 말한다. 의미 없이 나열된 데이터는 정리의 의미가 없다. 정리 정돈..

와이어프레임 작성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 요소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항목들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와이어프레임(wire frame)을 작성할 수 있다. 기능 구조 정의 1. 주요 기능 정의 카드소팅 수행을 통하여 콘텐츠와 기능에 대하여 다양하게 그룹핑 및 배열을 시도하면서 기능구조를 정의하였다면, 사용자 태스크 흐름을 중심으로 각 그룹의 사용빈도와 중요도 를 파악한다. 그리고 정의된 기능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중 요하지 않거나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능들은 삭제하기도 하고, 새로운 기능이 필요하 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추가하기도 한다 2. 메뉴 구조도 2-1. 메뉴 구조도 정의 메뉴 구조도는 앱 공간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메뉴와 각 메뉴의 기능을 문서 로..

OS 플랫폼 특성 파악 OS 플랫폼에 따른 UX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보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모바일 UX의 특성 이해 정보구조 설계 과정에 있어서 실제 개발할 UI의 구조도를 작성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 항은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I/UX에 대한 특성 이해와 모바일의 UI/UX 디자인 원칙, OS 플 랫폼 별 모바일 앱의 UI/UX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X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여 달성 하고자 하는 목적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니즈를 발견하여, 그것을 UI 디자인 에 담아내는 디자인 과정이 요구된다. 모바일에서 사용자 경험이 유독 강조되는 이유는 첫째, 작은 화면에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정보설계 구성 앱 UI/UX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정보설계를 구성할 수 있다 정보설계 정보설계의 목적은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 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콘텐츠와 기능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UI 구조와 내비게이션(navigation), 레이블링(labeling) 체계를 정립하 는 과정이다. 1976년 정보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IA)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언급한 리처드 사울 워먼(Richard Saul Worman)은 정보설계를 “데이터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 는 정보로 바꾸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1.정보설계의 정의 정보설계가인 루이스 로젠펠드(Louis ..

이미지 아트웍 의뢰 사양에 반영할 매체를 확인하고, 기본 시안과 변형 시안의 범위를 계획할 수있다. 매체별 특성을 이해하여,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시안을 표현할 수 있다. 설정된 콘셉트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1.디지털 이미지의 구현 1-1 픽셀(Pixel) 파악 픽셀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시각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서 ‘화소(Picture element)’를 가리키는 개념으로서 ‘실사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때 이미지는 픽셀로 구 성되어 있다. 비트맵 이미지를 구현하는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확대 하여 보면, 정사각형의 픽셀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니터에서 픽셀은 수평축과 수직축의 좌표계로 표시되며, 그리드(Grid)를 형성한다. 디지 털 이미지..

시안 베리에이션 계획 응용시안 개발을 위하여 기초 자료를 수집·구분할 수 있다. 설정된 콘셉트의 시각화를 위해 수집한 자료의 응용과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응용시안 개발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별 시안 작업 방법을 계획할 수 있다. 수집한 자료를 디자인 요소로 적용하여 응용 시안을 예상할 수 있다. 인쇄매체 시안 베리에이션 기획 레이아웃 베리에이션 레이아웃 베리에이션은 중심이 되는 시안을 바탕으로 이미지와 텍스트 요소의 배치를 부 분적으로 변경함으로서 시각정보의 인지를 위한 순서를 재배열하는 데 적합하다. 컬러 베리에이션 컬러 베리에이션은 중심이 되는 시안의 레이아웃을 유지 한 상태에서 부분적 컬러 혹은 주조색을 바꿈으로서 시각적 임팩트와 분위기 연출을 베리에이션 하는데 적합하다. 이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