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55)
DAYOUNG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의 개념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함 대상 :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는 콘텐츠 유의점 : 광과민성 발작 일으킬 수 있음 대안 : 사전에 경고, 제작하지 않게 해야 함 목적 가. 어린이 또는 광과민성 발작 증세가 있는 사용자를 위함 나.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영상 콘텐츠는 제공하지 않거나 사전에 경고해야함 반복영역 건너뛰기 제공 반복영역 건너뛰기 제공의 개념 콘텐츠의 반복되는 여역은 건너뛸 수 있어야 함 반복영역 건너뛰기 제공의 필요성 가. 시각 및 상지 장애인들이 마우스 사용자와 같이 원하는 콘텐츠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함 나. 영역이 있는 경우 바로 건너 뛸 수 있도록 건너..

운용의 용이성(1) 키보드 사용 보장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조작 이외에도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대해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키보드 사용 보장 제공 방법 기준: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접근가능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오류사례1: 마우스가 제어할 수 있는 요소를 키보드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오류사례2: 마우스에 대응되는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를 적용하지 않아 키보드 접근이 안되는 경우 오류사례3: readonly 속성을 사용하여 키보드 접근이 안되는 경우 오류사례4: 마우스에 종속적인 자바코드를 사용한 경우 키보드 사용 보장의 주의사항 반드시 IE8에서 확인할 것 onkeyprss, onkedown, onkeyup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인식의 용이성(2)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정보를 구분하는 구별점을 색상으로만 하지 않고, 색을 배제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것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의 목적 시력이 약한 사용자에게 색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제공 색에 무관한 콘텐츠 제공방법 제공방법 기준 :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오류유형 색상만으로 내용을 분별하도록 제공된 콘텐츠(그래프,차트,지도등) 페이지 네비게이션, 메뉴, 현재 위치 등에 대해 명암,패턴 등의 변화 없이 색상의 변호나만으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한 경우 필수 입력 항목을 색으로만 표시한 경우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콘텐츠에 한정해 적용하고, 무엇을 지시하는지 명확하게 하기..

친화도법 (Affinity Diagramming) 친화도법은 이러한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각화 하여 이후 데이터에 기반을 둔 UI/UX 관련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해법이 되어 주는 기법이다. 친화도법은 사용자리서치의 결과로 얻어진 정량적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그 덩어리들을 특정 주제나 문제와 관련된 분류와 해당 분류의 하위분류로 구분하는 귀납적 방법이다. 이러한 분류는 사용자리서치 및 UI/UX와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서 사용자리서치의 결과 데이터를 세분한 덩어리의 내용의 특성을 문장으로 적은 카드(점착식 메모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를 주제, 문제에 따라 분류하는 워크숍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자리서치의 ..

UX (User Experience) UX, 즉 사용자 경험이란 제품을 사용하면서 내재화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경 험을 비롯하여 느낌, 기억, 만족감 등도 포함된다. 이런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 아니라 전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있는 경험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 UX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UX 영역 UX의 대상이 사용자의 만족이나 감정 등의 시멘틱(semantic)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 져 있어 광범위한 영역을..

인식의 용이성 대체 텍스트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들 즉, 이미지, 이모티콘 문자,영상,음성 콘텐츠 등에 대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 대체해주는것 곧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대체하여 제공하는 텍스트 정보입니다. 대체 텍스트는 이미지의 alt속성 값을 이용해서 제공함 이미지의 내용이 복잡하거나 길어질 경우에는 longdesc속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파일로 제공 멀티미디어 대체수단 멀티미디어 콘텐츠란 주로 음성을 포함하는 영상 또는 음성으로만 제공되는 콘텐츠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대체수단은 음성정보를 대신하여 시각적인 정보인 자막이나 대본 또는 수화 등의 대체해 주는 것입니다. 동영상 내용과 동일한 자막,수화 또는 원고 등을 제공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cctv같은 영상은 제공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대체수단의 필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