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OUNG

운용의 용이성 (1) 본문

배움나라/웹 접근성의 이해

운용의 용이성 (1)

최배달 2019. 11. 17. 18:59

운용의 용이성(1)

키보드 사용 보장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조작 이외에도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대해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키보드 사용 보장 제공 방법

기준: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접근가능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오류사례1: 마우스가 제어할 수 있는 요소를 키보드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오류사례2: 마우스에 대응되는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를 적용하지 않아 키보드 접근이 안되는 경우

오류사례3: readonly 속성을 사용하여 키보드 접근이 안되는 경우

오류사례4: 마우스에 종속적인 자바코드를 사용한 경우

키보드 사용 보장의 주의사항

  • 반드시 IE8에서 확인할 것
  • onkeyprss, onkedown, onkeyup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키보드로 제어가 불가한 경우 감점
  • 지리정보(GIS), 가상현실 (VR) 콘텐츠의 경우 예외 인정하나 기타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함
  • 키보드로 탭 메뉴에서 탭1-탭2-탭3으로 이동하여 모든 탭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감점
  • o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항목 8,9,19에서 동시감점
  • 플래시 콘텐츠의 wmode 값을 transparent 또는 opaque로 지정하게 되면 화면낭독기로 인식이 불가함

초점이동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초점 : 웹사이트에서 현재 위치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형태로써 포커스 형태와 커서 형태 등으로 위치를 안내하는 것

초점 이동 제공 방법

기준: 키보드 초점을 받은 링크, 컨트롤 및 입력 서식은 초점을 받지 않은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 오류 유형 1 : 초점의 이동순서가 논리적이지 않으며 일관성이 없는 경우>논리적 순서로 소스코드 배열하여 CSS 활용 하여 초점 개선
  • 오류 유형 2 : 초점 또는 키보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요소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 오류 유형 3 : 요소의 진행 순서에 의미가 있으나 접근 순서가 의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초점 이동 주의사항

o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 키보드 접근은 물론 초점의 시각적 구분이 불가하고, 의도하지 않은 초점 변화가 실행되므로 검사항목 8 , 9, 19에서 동시 감점

조작가능

  • 조작 가능의 개념 조작 : 사용자의 입력 미 컨트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것
  • 키보드 사용 보장 제공 방법 : 링크, 사용자 입력, 기타 컨트롤 등의 안쪽 여백
  • 조작가능-제공방벙-기준 :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이웃한 컨트롤들은 개별적으로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또록 대각선 길이가 6.0mm 이상의 크기와 컨트롤의 안쪽 여백이 1픽셀 이상을 갖도록 제공한 경우

응답시간조절

제한된 시간 안에 요구되는 지시, 읽어야 할 내용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그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응답시간 조절의 검사항목 해설

  • 제한된 시간이 일반적인 사용자를 위해 제시도니 경우 응답시간 조절 예외 인정
  • 제한된 시간이 일반적 사용자를 위한 것일 경우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에게는 차별 요소가 될 수 있음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도 정지, 시간 연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응답시간 조절 제공방법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 한것으로 인정

  • 오류유형 : 페이지 재 이동시 회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은 경우 > 확인, 취소 버튼 제공 및 충분한 시간 제공하여 개선
  • 오류유형 : 제한시간을 연장하는 방법에 제한 시간이 있는 경우

응답시간 조절의 주의 사항

  • 원천적으로 콘텐츠의 이용에 따르는 시간 조절을 허용할 수 없는 콘텐츠는 예외로 인정
  • 검사대상은 자동전환 페이지, 제한시간 연장, 제한시간 만료 경고 등이 해당됨.

학습정리

키보드 사용 보장

  • '키보드 사용 보장'의 개념 :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 할 수 있어야 함
  • '키보드 사용보장'의 필요성 : 마우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어려움 해소
  • '키보드 사용보장'의 검사항목 해설 : 마우스로 이용 가능한 기능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
  • '키보드 사용보장'의 제공 방법 :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접근,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

초점 이동

  • '초점 이동'의 개념 : 키보드에 의한 초점ㅇ ㅣ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함
  • '초점 이동'의 필요성 : 키보드로만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 어려움 해소
  • '초점 이동'의 검사항목 해설 : 초점을 받았을 때 시각적으로 구분, 사용자가 현재 키보드 위치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함
  • '초점 이동'의 제공 방법 : 키보드 초점을 받은 링크, 컨트롤 및 입력 서식 초점을 받지 않은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게 제공

조작 가능

  • '조작 가능'의 개념 : 사용자의 입력 및 컨트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조작 가능'의 필요성 : 손 떨림이 있는 사용자와 시각 장애인의 용이한 조작
  • '조작 가능'의 검사항목 해설 : 링크,사용자 입력, 기타 컨트롤 등의 안쪽 여백을 두고 이곳에서는 위치 지정 도구가 조작에 미반응
  • '조작 가능'의 제공 방법 : 모든 컨트롤들은 대각선 길이가 6.0mm이상 / 컨트롤의 안쪽 여백 : 1 픽셀 이상

응답시간 조절

  • 응답시간 조절의 개념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함
  • 응답시간 조절의 필요성 : 감각 장애가 잇는 사용자의 어려움 해소
  • 응답시간 조절의 검사항목 해설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정지, 시간 연장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응답시간 조절의 제공 방법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 응답시간 조절 가능하게 제공

정지 기능 제공

  • '정지 기능 제공'의 개념 :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 움지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함
  • '정지 기능 제공'의 필요성 ; 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느린 사용자 어려움 해소
  • '정지 기능 제공'의 검사항목 해설 : 정보 제공하는 콘텐츠가 자동 변경되는 경우 반드시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
  • '정지 기능 제공'의 제공 방법 :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의 움직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
Comments